로 끝나는 세 글자의 단어: 29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7개 🍒세 글자: 291개 네 글자:138개 다섯 글자:59개 여섯 글자 이상:47개 모든 글자:673개

  • 이틄 : (1)‘이튿날’의 옛말.
  • 스무 : (1)초하룻날부터 스무 번째 되는 날.
  • 봉칫 : (1)봉치를 보내거나 받는 날.
  • 장삿 : (1)장사를 지내는 날.
  • 혼삿 : (1)혼인을 하는 날.
  • 온한 : (1)‘온종일’의 방언 (2)‘온종일’의 방언
  • 구레 : (1)‘구레나룻’의 방언
  • 닷샛 : (1)다섯째 날. (2)다섯 날. (3)매달 초하루부터 헤아려 다섯째 되는 날.
  • 제역 : (1)‘저녁날’의 방언
  • 약의 : (1)1957년에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을 위한 의약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념하기 위하여 제정한 날. 당시에는 10월 10일이었으며, 지금은 11월 18일이다.
  • 데카 : (1)무색에서 담황색의 투명한 액체로 꽃과 같은 향기가 있는 물질. 천연 정유분의 성분으로 존재한다. 식품으로는 착향료로 바나나, 버터 스카치, 체리, 호프, 오렌지 따위의 조합에 사용한다. 화장품 향료에도 이용한다. 화학식은 Math Image .
  • 저녁 : (1)하루 가운데 저녁때. (2)‘그글피’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녁날’로도 적는다.
  • 주의 : (1)기독교에서, ‘일요일’을 이르는 말. 예수가 부활한 날이 일요일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예수가 재림하여 세상을 심판하는 날.
  • 단오 : (1)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규범 표기는 ‘단옷날’이다.
  • 사흘 : (1)‘사흗날’의 방언
  • 여름 : (1)여름철의 날. 또는 그날의 날씨.
  • 한무 : (1)무수기를 볼 때 열흘과 스무닷새를 이르는 말.
  • 잔챗 : (1)‘잔칫날’의 방언
  • 니건 : (1)‘지난날’의 옛말.
  • 례배 : (1)‘예배일’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예뱃날’이다.
  • 면도 : (1)면도칼의 날. (2)안전면도기에 끼는, 날이 선 얇은 쇳조각.
  • 나흗 : (1)넷째 날. (2)네 날. (3)매달 초하루부터 헤아려 넷째 되는 날.
  • 서울 : (1)‘설날’의 방언
  • 쟁기 : (1)‘볏’의 방언 (2)‘보습’의 방언
  • 예미 : (1)마음이 언짢아 불평할 때 욕으로 하는 말. 다소 속된 뜻이 있다
  • 제녁 : (1)‘저녁날’의 방언 (2)‘그글피’의 방언
  • 도끼 : (1)도끼에서 물건을 찍거나 자르는 데 쓰는 쇠로 된 날카로운 부분. (2)메마르고 날카로운 성격이나 성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한설 : (1)‘설날’의 옛말. (2)큰 설날이라는 뜻으로, ‘설날’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소빗 : (1)‘보습’의 방언
  • 터미 : (1)항공, 열차, 버스 노선 따위의 맨 끝 지점. 또는 많은 교통 노선이 모여 있는 역. ⇒규범 표기는 ‘터미널’이다. (2)전기가 드나드는 곳. 전지, 발전기 따위의 전원에서 전류가 나오는 곳을 양극, 전류가 들어가는 곳을 음극이라 하는데 전위의 높고 낮음으로 양극과 음극을 구별한다. ⇒규범 표기는 ‘터미널’이다. (3)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 금융 기관 업무, 좌석 예약 따위의 특정한 업무에 맞도록 만들어진 전용(專用) 단말기와 일반적인 입출력 업무에 사용하는 범용(汎用) 단말기가 있다. ⇒규범 표기는 ‘터미널’이다.
  • 두무 : (1)밀물과 썰물 차를 볼 때 음력으로 열하루와 스무엿새를 이르는 말. 10~12일, 22~25일 사이의 밀물이 가장 낮은 때에 속한다.
  • 공연 : (1)공연이 있는 날.
  • 좀돌 : (1)잔석기를 만들기 위해 몸돌에서 떼어 낸 아주 작은 돌 조각.
  • 사을 : (1)‘사흗날’의 방언
  • 받침 : (1)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칼날 모양의 예리한 받침쇠. 평면 또는 오목면을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
  • 작두 : (1)작두에 붙어 있는 칼날.
  • 아시 : (1)‘전날’의 방언
  • 납행 : (1)‘납향날’의 방언
  • 경사 : (1)‘경삿날’의 북한어.
  • 나 : (1)‘나흗날’의 옛말.
  • 이듬 : (1)‘이튿날’의 방언
  • 깨잇 : (1)‘괭잇날’의 방언
  • 소풍 : (1)소풍 가는 날.
  • 잔치 : (1)‘잔칫날’의 북한어.
  • 우에 : (1)‘볏’의 방언
  • 삼실 : (1)‘삼짇날’의 방언
  • 빨간 : (1)일요일이나 공휴일과 같이 달력에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일을 하지 않고 쉬는 날.
  • 꺾임 : (1)프리즘의 모서리.
  • 웰 끝 : (1)단단한 지반이나 자갈층에서도 웰의 끝이 상하지 않고 침하를 하도록 뾰족하게 강판으로 보강한 웰의 밑부분.
  • 이렛 : (1)일곱째 날. (2)일곱 날. (3)매달 초하룻날부터 헤아려 일곱째 되는 날.
  • 나훋 : (1)‘나흗날’의 방언
  • 자귀 : (1)한쪽 면만 떼어 내거나 갈아서 만든 날.
  • 삭발 : (1)승려들이 머리털을 깎기 위하여 정한 날.
  • 후렴 : (1)동제(洞祭)가 끝난 다음 날. 이날 동제에 사용한 제물을 나누어 먹으며 즐기고 마을 회의를 연다.
  • 잔쳇 : (1)‘잔칫날’의 방언
  • 가락 : (1)‘보습’의 방언
  • 춘분 : (1)춘분이 되는 날.
  • 녀 : (1)‘여름날’의 옛말.
  • 제향 : (1)제향을 지내는 날. (2)소설가 채만식이 지은 희곡. 19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온갖 민족의 수난을 모두 겪은 할머니가 남편의 제삿날 밤에 식민지 세대인 손자에게 지난날을 이야기해 주는 형식의 작품이다. 1937년에 발표되었다.
  • 다쐣 : (1)‘닷샛날’의 옛말.
  • 장맛 : (1)장맛비가 오는 날.
  • 단잇 : (1)‘단옷날’의 방언
  • 사흗 : (1)셋째 날. (2)매달 초하룻날부터 헤아려 셋째 되는 날.
  • 경운 : (1)로터리의 경운축에 장착하여 땅을 갈거나 흙을 파쇄하는 날.
  • 추석 : (1)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
  • 갈이 : (1)말이나 소에 매달아 논밭을 가는 농기구.
  • 전전 : (1)어떤 날의 이틀 전. (2)어제의 전날.
  • 두렛 : (1)두렛일을 하는 날.
  • 바이 : (1)폴리비닐 알코올을 원료로 하는 합성 섬유. 친수성, 흡습성, 보온성이 좋으며, 산과 알칼리에 강하고, 무명에 가까운 성질과 감촉이 있다. 나일론보다 다소 떨어지나 내약품성, 내마찰성이 커서 혼방에 적당하다. 모포, 천막, 학생복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쓴다.
  • 시무 : (1)‘스무날’의 방언
  • 서웃 : (1)‘설날’의 방언
  • 생신 : (1)‘생일날’을 높여 이르는 말.
  • 일꾼 : (1)농가에서, 음력 이월 초하룻날을 이르는 말. 이날 주인은 머슴들에게 술과 음식을 한턱내어 위로하고, 머슴들은 풍물을 치고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즐긴다.
  • 그믐 : (1)음력으로 그달의 마지막 날.
  • 무싯 : (1)정기적으로 장이 서는 곳에서, 장이 서지 않는 날.
  • 다음 : (1)정하여지지 아니한 미래의 어떤 날.
  • 내릿 : (1)‘매일’의 방언
  • 홀수 : (1)날짜가 홀수인 날. ⇒규범 표기는 ‘홀숫날’이다.
  • 가래 : (1)‘가랫날’의 북한어.
  • 제적 : (1)‘그글피’의 방언
  • 설포 : (1)수면제ㆍ마취제의 하나. 현재는 독성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저냑 : (1)‘저녁때’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냑날’로도 적는다. (2)‘그글피’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냑날’로도 적는다.
  • 며 : (1)‘며칟날’의 옛말.
  • 배깟 : (1)‘바깥날’의 방언
  • 안식 : (1)‘안식일’의 북한어.
  • 월급 : (1)월급을 받기로 되어 있는 날.
  • 소뷔 : (1)‘볏’의 방언
  • 나앋 : (1)‘나흗날’의 방언
  • 돼지 : (1)지지(地支)가 해(亥)로 된 날.
  • 보룸 : (1)‘보름날’의 방언
  • 네무 : (1)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볼 때에, 열사흘과 스무여드레를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너무날’이다. (2)‘너무날’의 북한어.
  • 하지 : (1)‘하짓날’의 북한어.
  • 마감 : (1)정해진 기한의 마지막 날.
  • 한갑 : (1)‘환갑날’의 방언
  • 하짓 : (1)하지가 되는 날.
  • 단옷 : (1)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 열를 : (1)‘열흘날’의 방언
  • 명질 : (1)해마다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거나 기념하는 때. 우리나라에는 설날, 대보름날, 단오, 추석, 동짓날 따위가 있다.
  • 귀신 : (1)음력 1월 16일을 이르는 말. 귀신이 따르는 날이라 하여 먼 나들이를 삼가고 집에서 쉬면서 밤에 콩을 볶으며, 대문 앞에서 목화씨나 고추씨 같은 것을 태우기도 한다.
  • 저낙 : (1)‘저녁때’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낙날’로도 적는다. (2)‘그글피’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낙날’로도 적는다.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

실전 끝말 잇기

날로 시작하는 단어 (993개) : 날, 날가기, 날가루, 날가리, 날가미, 날가얌이, 날가재미, 날가죽, 날가지, 날가지숭어, 날가지숭엇과, 날각, 날간, 날간장, 날갈이, 날감, 날감자, 날감저, 날감지, 날감치, 날갑지, 날강도, 날강도질, 날강도패, 날강목, 날개, 날개(가) 돋치다, 날개 가시 돌기, 날개 가시 인대, 날개가지나방 ...
날로 시작하는 단어는 99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날로 끝나는 세 글자 단어는 29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